엑셀에서 숫자의 정수 부분만 또는 소수 부분만 가져오는 방법(TRUNC 함수 사용)


엑셀을 사용할 때 정말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사용하게 됩니다. 일반적인 텍스트 문자열을 비롯해서 날짜, 숫자 등 다양한 데이터를 처리하게 됩니다.
특히 숫자와 관련된 작업은 엑셀을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가 됩니다.

엑셀에서 숫자 값을 직접 입력하거나 연산을 통한 결과 값을 표시하게 되는데 소수가 있는 숫자 값을 많이 처리하기도 합니다.

소수가 포함된 숫자에서 정수 부분만 가져오거나 소수 부분만 가져와야 할 경우 어떻게 처리하면 될까요?

이번 글에서는 엑셀에서 숫자의 정수 부분만 또는 소수 부분만 가져오는 방법(TRUNC 함수 사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엑셀에서 숫자의 정수 부분만 또는 소수 부분만 가져오는 방법(TRUNC 함수 사용)

엑셀에서 숫자의 정수 부분만 가져오는 방법

▶ 엑셀에서 숫자의 정수 부분만 가져오거나 소수 부분만 가져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먼저 TRUNC 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TRUNC 함수는 지정한 자릿수만을 소수점 아래에 남기고 나머지 자리는 버릴 때 사용하는 함수 입니다.
  • 기본 형식 : TRUNC(number, num_digits)
  • number : 지정한 자릿수 아래를 잘라 낼 숫자입니다.
  • num_digits : 잘라낼 소수점 이하의 자릿수입니다. 생략 가능합니다.

▼ 엑셀에서 숫자의 정수 부분만 가져오는 방법입니다.

  • TRUNC(A2) 또는 TRUNC(A2, 0)
  • A2 셀의 숫자 값에서 정수만 가져왔습니다.
엑셀에서 숫자의 정수 부분만 가져오는 방법

엑셀에서 숫자의 소수 부분만 가져오는 방법

▼ 앞 단락에서 TRUNC 함수로 정수 부분만 가져오는 수식을 활용해서 숫자에서 소수 부분만 가져오는 방법입니다.

  • 수식 : =A2 – TRUNC(A2)
  • A2 셀의 숫자 값에서 정수 값만 빼면 결과적으로 소수 값만 남게 됩니다.
엑셀에서 숫자의 소수 부분만 가져오는 방법

엑셀에서 INT 함수를 사용하여 숫자의 소수 부분만 가져오는 수식의 문제점

▶ 앞 단락에서 숫자의 소수만 가져오기 위해 TRUNC 함수를 사용하여 원래 숫자에서 정수 부분을 뺀 결과로 소수를 구했습니다.

엑셀에서 숫자의 정수를 구하는 함수로 INT 함수가 있습니다.
만약 앞 단락의 수식에서 TRUNC 함수 대신 INT 함수를 사용해서 소수를 가져왔다면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 소수가 포함된 숫자 값이 양수일 때는 TRUNC 함수를 사용하거나 INT 함수를 사용해도 소수 부부만 가져오는데 차이가 없습니다.
  • 하지만 숫자 값이 음수일 때는 TRUNC 함수와 INT 함수의 결과 값이 달라지게 됩니다.
  • 이유는 INT 함수는 소수점 아래를 버리고 가장 가까운 정수로 내림 한 정수를 가져오기 때문입니다.
  • C2 열의 계산 과정을 보면 =-22.3648 – (-23). 따라서 결과는 0.6352로 계산됩니다.
엑셀에서 INT 함수를 사용하여 숫자의 소수 부분만 가져오는 수식의 문제점

마무리

엑셀 작업 과정에서 숫자에서 정수만 가져오거나 소수만 가져와서 처리하는 일을 종종 하게 됩니다.
TRUNC 함수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숫자에서 정수 부분만, 또는 소수 부분만 추출해서 사용하면 편리하게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