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광주시 초월읍 무갑사 너도바람꽃 야생화 촬영 (출사일, 2025.3.15)

이른 봄에 만날 수 있는 야생화 중에 가장 대표적인 야생화가 바람꽃과 노루귀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 중에서도 바람꽃을 우선적으로 만날 수 있는데 바람꽃에는 종류도 참 많습니다.
풍도바람꽃, 변산바람꽃, 너도바람꽃, 나도바람꽃, 홀아비바람꽃, 만주바람꽃, 꿩의바람꽃 등등 이름도 참 재밌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경기 광주시 초월읍 무갑사 너도바람꽃 야생화 촬영 후기를 남겨 볼까 합니다.

경기 광주시 초월읍 무갑사 너도바람꽃

2025년 3월 15일 토요일에 변산바람꽃과 너도바람꽃 야생화 촬영을 다녀왔습니다.
사실 한 주 전(3월8일) 갔을 때는 단 한 송이의 꽃도 보지 못해 살짝 걱정도 했지만 일주일 기간 동안 날씨가 영상의 따뜻한 기온을 유지해서 꽃들이 조금은 올라오지 않았을까 하는 기대로 다시 찾아가 보았습니다.

결과적으로 최적의 시기에 찾아간 듯 합니다.

오전에 안산의 수리산에서 변산바람꽃을 먼저 촬영하고, 오후에 무갑사로 이동하여 너도바람꽃을 촬영하는 일정으로 진행하였습니다.

경기 광주시 초월읍 무갑사 너도바람꽃 야생화 촬영 (출사일, 2025.3.15) 1

오후 4시에 무갑사에 도착한 관계로 태양은 이미 산 능선을 넘어 햇빛을 제대로 받지는 못했습니다.
그래도 너도바람꽃이 하얀 꽃잎이라 햇빛이 너무 밝으면 흰 색이 날아가서 오히려 은은한 확산 광이 더 나은 결과물을 가져올 수도 있다는 기대감으로 촬영에 임했습니다.

경기 광주시 초월읍 무갑사 너도바람꽃 야생화 촬영 (출사일, 2025.3.15) 2

무갑사는 이번에 처음으로 방문한 장소입니다.
무갑사의 이 날은 너도바람꽃이 가장 절정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었습니다.

경기 광주시 초월읍 무갑사 너도바람꽃 야생화 촬영 (출사일, 2025.3.15) 3

무갑사는 너도바람꽃 개체 수도 많았고, 촬영 여건도 그다지 나쁘지 않은 출사지였습니다.

앞으로 매년 찾아가는 출사지 중에 한 곳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경기 광주시 초월읍 무갑사 너도바람꽃 야생화 촬영 (출사일, 2025.3.15) 4
경기 광주시 초월읍 무갑사 너도바람꽃 야생화 촬영 (출사일, 2025.3.15) 5

너도바람꽃의 특색으로 별 모양의 하얀 꽃잎과 끝에 노란 물방울처럼 달려 있는 꽃술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노란 꽃술은 자세히 보면 더욱 매력적입니다.

경기 광주시 초월읍 무갑사 너도바람꽃 야생화 촬영 (출사일, 2025.3.15) 6

무더기로 핀 꽃을 담을 때 모든 꽃에 초점을 맞추기는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최대한 조리개를 조여서 담아 봤는데 나름 전체적으로 꽃술에 초점이 맞았다는 느낌입니다(아래 사진). 그렇다고 모든 꽃이 다 초점에 맞은 것은 아닙니다.

조리개를 너무 조이면 주변이 엄청 지저분하게 함께 담길 수 있습니다.
조리개를 조일 때 주변이나 뒷 배경이 지저분하지 않는 피사체를 찾아서 담아야 예쁘게 담을 수 있습니다.

경기 광주시 초월읍 무갑사 너도바람꽃 야생화 촬영 (출사일, 2025.3.15) 7
경기 광주시 초월읍 무갑사 너도바람꽃 야생화 촬영 (출사일, 2025.3.15) 8

무갑사는 이번에 처음 방문한 야생화 출사지 입니다.
다음에 방문할 때는 시간을 잘 맞추어 좀 더 밝은 조건에서 촬영을 해봐야겠습니다.

경기 광주시 초월읍 무갑사 너도바람꽃 야생화 촬영 (출사일, 2025.3.15) 9
경기 광주시 초월읍 무갑사 너도바람꽃 야생화 촬영 (출사일, 2025.3.15) 10

무갑사 너도바람꽃 출사 안내

▶ 무갑사 너도바람꽃 촬영지를 찾아가기 위해서는 네비에 ‘무갑사‘로 검색해서 찾아가면 됩니다.
주소는 ‘경기 광주시 초월읍 무갑길124번길 83‘ 입니다.

▶ 무갑사 바로 직전 도로변의 적당한 장소에 주차하고 계곡을 따라 10여분 올라가면 너도바람꽃을 만날 수 있습니다.
초입에 아래 사진과 같은 표지판이 있습니다. ‘바람꽃 보호지역입니다.
이 길을 따라 쭉 올라가면 됩니다.

경기 광주시 초월읍 무갑사 너도바람꽃 야생화 촬영 (출사일, 2025.3.15) 11

올라가면서 두 번째 작은 다리를 만나면 그 곳에서부터 너도바람꽃 군락지를 만날 수 있습니다.

야생화 촬영은 시기를 잘 맞추는 것이 제일 관건입니다.
2,3일 차이로 개화 상태가 확연히 달라질 수 있으니 촬영에 최적인 상태의 야생화를 만나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닌 듯 합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댓글로 흔적을 남겨 주세요.

답글 남기기